반응형
웹접근성을 통과하기 위해선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, 키보드 tab키만으로도 모든 객체에 접근이 가능해야만 한다. 이에 tab키에 의한 동작이 순서에 따라 이동되지 않을때, 페이지가 로딩될 시 tabindex를 적용하여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태그이다.
tabindex=”1″
문서 안에서 가장 먼저 초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자연스러운 마크업 순서를 거스르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 검색엔진 사이트에서 검색창에 사용하면 적합하지만(이 대신 autofocus=”autofocus” 속성이 더 적절할 듯 해요) 그 외 적합한 경우는 잘 떠오르지 않는군요.
tabindex=”0″
키보드 초점을 받을 수 없는 div, span과 같은 요소도 초점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. 초점을 받되 초점을 받는 순서는 자연스러운 마크업 순서를 따릅니다.
tabindex=”-1″
키보드 초점을 받을 수 있는 요소도 초점을 받을 수 없도록 만들어 줍니다. 초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“-1″ 이외의 다른 음의 정수 값은 사실상 의미가 없습니다.
본 게시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클릭 가능한 ♥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:)
"당신의 하루가 별보다 빛나길"
반응형
'WEB·MOBILE- HTML > HTML&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CSS로 a 태그 onfocus=this.blur() 효과 주기 (0) | 2020.05.19 |
---|---|
모바일 웹 퍼블리싱 작업시 meta 태그 설정 정의하기 (Mobile, meta tag) (0) | 2020.05.15 |
사이트 링크(url) 공유시 보여지는 섬네일 적용 방법 (0) | 2020.03.03 |
HTML CSS display none과 block 속성에 대한 이해 (0) | 2020.02.03 |
임시 인터넷 파일 캐싱을 위한 방지 방법! html,css,javascript (0) | 2020.01.24 |